post-title

스스로 자학하는 아이? 이렇게 대처해야 합니다!

아이들이 자신의 감정이나 생각을 표현하는 방법은 정말 다양해요. 말로 엄빠를 부를 수도 있지만, 행동으로 표현할 때도 많아요. 특히 엄빠들이 어려워하는 것은 손짓🖐, 표정👨‍🦲과 같은 비언어적 표현이죠. 그런데 어느샌가 우리 아이가 기분이 나쁠 때면 자기 머리를 때리기 시작했다고요?😲 이럴 때는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 한번 알아보아요!


우리 아이는 왜 자신을 때릴까요?

주 양육자에게 자신의 의사를 전달하는 목적일 수 있다고요?

화가 날 때 자기 몸을 때리는 아이, 사실 자학이 아닐 수도 있어요. 엄빠 입장에선 너무 속상한 일이지만😢 아이가 자신이 필요한 순간에 의도적으로 특정 행동을 취하는 것은 생각보다 흔한 일이에요. 이렇게 자신의 기억이나 태도, 또는 갈등을 말보다 행동을 통해 표현하는 것을 행동화라고 하는데요. 엄빠는 이때 아이가 어떤 의도를 가지고 행동하는지를 살펴봐야 한답니다.👀


행동의 의도를 알아야 해요!

아직 어리거나 말이 늦는 아이들의 경우 더 흔한 현상이에요.

24개월 이전의 아이들은 눈빛이나 표정과 같은 서로 간의 비구어적 공유로 소통해요. 그런데 그 방식이 잘 통하지 않는 경험을 했다면 다른 방법을 찾으려 할 거예요. 그리고 또래에 비해 언어 발달🧠이 더딘 경우 역시 행동으로 자기 의사 표현을 하는 경향이 있어요. 하고 싶은 말은 머리에 가득한데 그걸 다 표현하기가 어려우니 손이 먼저 나오게 되는 거랍니다. 결국 자신을 때리는 것을 일종의 의사소통 방식으로 선택한 거죠. 그럼, 엄빠는 어떻게 대처하는 게 좋을까요?💁‍♀️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요?

다른 방식의 의사소통을 아이에게 인식시켜줘요.

💬긍정적인 순환 고리를 만들어야 해요.

아이가 자신을 때리지 않으면서 긍정적인 의사소통을 시도할 때 즉각적으로 반응해 주는 게 중요해요.👂 예를 들어 아이와 눈이 마주쳤을 때, “엄마 쳐다봤구나. 무슨 일 있어?” 이렇게요. 이때 반가운 듯한 표정을 지으며 약간의 오버 리액션을 해주는 것은 덤! 아이는 “이렇게 했더니 나한테 반응을 잘해주네”라고 생각하게 될 거예요. 이게 더 좋은 방법이라는 판단이 들면 점차 자신을 때리는 행동은 줄어들고 이 방법으로 소통하기 시작하겠죠?👩 


스스로를 때리는 모습을 보여도 동요하지 않아요.

💬때로는 무시도 필요해요.

그 과정에서 다시 자학한다면, 이번에는 엄빠의 의도된 무시가 아주 중요해요! 자학을 함으로써 아이가 얻고자 하는 결과는 바로 엄빠의 관심이에요. 때리는 행동을 할 때는 관심을 주지 않아야 그 행동을 더 시도하지 않을 거에요. 또 가벼운 대응을 해주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에요.🙆‍♀️  아이의 손을 잡고 “네가 너를 때리면 엄마는 너무 속상해. 만약 그런 마음이 들면 엄마한테 말해줘.”라는 말과 함께 마음이 진정될 때까지 기다려주는 거예요. 만약 이때 아이의 행동을 강하게 제지하려 하면 오히려 부정적인 감정을 심어줄 수 있어요! 아이를 혼내거나 강한 액션을 보이지 않도록 주의해야 해요.😬



이처럼 아이가 자신을 때리는 경우는 엄빠가 적극적으로 교정해 주어야 해요. 베개와 인형들🦕로 위험할 수 있는 요소들을 대체하는 것도 좋겠죠? 우리 엄빠와 아이 모두 마음이 편안한 육아가 될 수 있길 빌리가 늘 도와드릴게요. 그럼, 오늘도 파이팅하세요!🤍

출처: 우리동네 어린이병원, 우리어린이